"송도, 연동개발보다 필지별 큰그림을"
'인천, 경제자유구역을 말하다' 출판기념회 개최한 허동훈 박사
발행일 2019-02-21
'인천, 경제자유구역을 말하다' 저자 허동훈 경제학 박사가 20일 인천아트플랫폼 H동 다목적실에서 열린 출판기념회에서 강연하고 있다. 허 박사는 이 책에서 송도 등 인천경제자유구역 개발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일자리 창출 중심의 연구개발단지 개발을 제안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
'무늬만' 외투기업 목 매지 말고
지역 기여도 큰 국내 기업 유치
업체별로 부지공급가 탄력 적용
11공구 혁신클러스터 조성 강조
신간 '인천, 경제자유구역을 말하다' 저자 허동훈 경제학 박사는 "대규모 부지를 '연동 개발'(수익사업과 비수익사업 연계 방식)로 개발하는 것보다는 큰 그림을 그린 뒤 필지별로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동훈 박사는 20일 도서출판 다인아트 주최로 인천아트플랫폼 H동 다목적실에서 열린 '인천, 경제자유구역을 말하다' 출판기념회에서 "연동 개발은 민간사업자가 비수익시설 비중을 줄이거나 시기를 뒤로 미룬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출판기념회는 저자 강연과 질의응답 방식의 토론으로 진행됐다.
허 박사는 강연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이미 시작한 연동 개발사업을 중단하기는 힘들다"며 "개발사업이 원만하게 굴러가는 것이 중요하니까 용적률 상향, 시기 조정 등 양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벌어진다"고 했다.
이어 "필지별로 개발해 주거·상업시설 개발이익을 업무시설 조성에 투입하는 것이 낫다"고 덧붙였다.
허 박사는 외국인투자기업 유치에 목을 맬 이유가 없다고 했다. 그는 "실질적으로 국내 기업인데 형식만 외투기업으로 들어온 것이 꽤 된다"며 "남동국가산업단지 등 국내에 있는 기업이 송도로 이전한 경우도 많다"고 지적했다.
또 "산업용지를 조성원가로 싸게 공급하다 보니 면적이 많이 필요한 제조업체가 들어온다"면서 "자본의 국적 대신 입주기업의 성격에 따라 부지 공급가를 탄력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일자리 창출 등 지역 발전에 기여한 기업을 사후에 지원하는 방안도 도입해야 한다고 했다.
허 박사는 '인천, 경제자유구역을 말하다'에서 송도 등 인천경제자유구역 개발 스토리를 자세하게 풀어냈다. 저자는 송도국제업무단지 등 각 개발 프로젝트를 사례로 들며 '연동 개발'과 '헐값 매각'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따졌다.
그러면서 부지 용도와 수요에 맞춰 공급가격을 산정하고, 앵커시설을 유치할 땐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도 '마지막 땅'인 11공구는 일자리 창출 중심의 중·고밀도 연구개발단지(혁신클러스터)로 개발해야 한다는 게 저자의 메시지다.
이 책에는 인천경제청이 과거 투자 유치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과 에피소드, 민간사업자와의 갈등 이야기도 담겨 있다.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도시 개발 및 투자 유치 지침서'로 삼을 만한 책이다.
허 박사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증권회사에서 일하다가 미국 오클라호마주립대에서 도시 및 지역경제를 공부하고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천발전연구원(현 인천연구원) 연구위원, 한국지방세연구원장 등을 지냈으며 에프앤자산평가 고문으로 재직 중이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