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실리콘밸리' 판교TV의 그늘·(1)]선망받는 '일터' 외면받는 '삶터'
감당 못하는 분당·판교 '집값'… 선택은 '고된 통근'
발행일 2019-03-06
직장 근처 집세 비싸 수원등 터전
4만5천명 출·퇴근때면 '교통지옥'
기업만 '빼곡' 문화 인프라 부족도
지난 4일 월요일 아침 판교역 앞.
오전 8시부터 10시 무렵까지 직장인들이 쉴 새 없이 쏟아져나왔다. 수만 명에 이르는 인파들의 목적지는 대부분 같았다.
수많은 발들이 1㎞ 남짓 떨어진 판교테크노밸리 방향으로 움직였다. 역 앞에 줄 지어 선 판교테크노밸리 '전용' 마을버스들은 금세 승객들로 가득찼다.
어디든 '텅 빈' 주말과 어디든 '가득 찬' 평일. 판교테크노밸리의 '두 얼굴'이다.
판교테크노밸리가 주말과 평일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은 이곳 종사자들 상당수가 인근에 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5일 성남시 등에 따르면 6만2천명에 이르는 종사자 중 성남시민은 28.2%에 불과하다.
경기도내 다른 도시에 살고 있는 종사자가 38.4%, 서울에 거주하는 종사자는 25.9%, 기타 7.5%에 이른다. 다른 도시에서 출·퇴근하는 인원만 4만5천명가량이다 보니 자연히 이곳은 출·퇴근시간대 '교통지옥'으로 변한다.
교통 인프라가 변변치 않은 제2·3판교테크노밸리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사정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종사자들 상당수가 인근에 집을 구하지 않은 채 '교통지옥'을 택하고 있는 것은 분당·판교 일대의 비싼 집값 때문이다.
매일 수원에서 판교테크노밸리로 출·퇴근하는 윤모(31)씨는 "판교테크노밸리 근처에 집을 구하기 위해 알아봤는데 집세를 감당하기가 어려워 좀 힘들더라도 지하철·버스로 갈 수 있는 수원에 집을 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판교테크노밸리 일대에 문화·여가 인프라가 충분치 않은 점도 한몫을 한다는 지적이다.
누구에게나 선망받는 '일터'로 자리매김했지만 정작 '삶터'로서는 외면받고 있는 셈이다. 그동안 기존 신도시들은 자족기능이 없는 '베드타운' 비판을 받았지만, 이곳은 반대로 종사자들의 '삶터'를 배제한 채 기업들만 빼곡히 세웠다.
기존 신도시의 문제점이 다른 형태로 이곳에서 드러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도는 이러한 점을 감안해 임대료가 저렴한 '경기도형 행복주택'을 판교테크노밸리에 조성하는 한편 종사자들에게 주택 임대료를 지원하는 사업 등을 다양하게 시행하고 있지만 종사자들이 느끼는 '주거 장벽'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인 실정이다.
경기도 측은 "집값 부담을 조금이라도 낮추고 인문학 강연, 커뮤니티 활성화 등 문화·여가 프로그램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순기·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4만5천명 출·퇴근때면 '교통지옥'
기업만 '빼곡' 문화 인프라 부족도
지난 4일 월요일 아침 판교역 앞.
오전 8시부터 10시 무렵까지 직장인들이 쉴 새 없이 쏟아져나왔다. 수만 명에 이르는 인파들의 목적지는 대부분 같았다.
수많은 발들이 1㎞ 남짓 떨어진 판교테크노밸리 방향으로 움직였다. 역 앞에 줄 지어 선 판교테크노밸리 '전용' 마을버스들은 금세 승객들로 가득찼다.
어디든 '텅 빈' 주말과 어디든 '가득 찬' 평일. 판교테크노밸리의 '두 얼굴'이다.
판교테크노밸리가 주말과 평일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은 이곳 종사자들 상당수가 인근에 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5일 성남시 등에 따르면 6만2천명에 이르는 종사자 중 성남시민은 28.2%에 불과하다.
경기도내 다른 도시에 살고 있는 종사자가 38.4%, 서울에 거주하는 종사자는 25.9%, 기타 7.5%에 이른다. 다른 도시에서 출·퇴근하는 인원만 4만5천명가량이다 보니 자연히 이곳은 출·퇴근시간대 '교통지옥'으로 변한다.
교통 인프라가 변변치 않은 제2·3판교테크노밸리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사정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종사자들 상당수가 인근에 집을 구하지 않은 채 '교통지옥'을 택하고 있는 것은 분당·판교 일대의 비싼 집값 때문이다.
매일 수원에서 판교테크노밸리로 출·퇴근하는 윤모(31)씨는 "판교테크노밸리 근처에 집을 구하기 위해 알아봤는데 집세를 감당하기가 어려워 좀 힘들더라도 지하철·버스로 갈 수 있는 수원에 집을 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판교테크노밸리 일대에 문화·여가 인프라가 충분치 않은 점도 한몫을 한다는 지적이다.
누구에게나 선망받는 '일터'로 자리매김했지만 정작 '삶터'로서는 외면받고 있는 셈이다. 그동안 기존 신도시들은 자족기능이 없는 '베드타운' 비판을 받았지만, 이곳은 반대로 종사자들의 '삶터'를 배제한 채 기업들만 빼곡히 세웠다.
기존 신도시의 문제점이 다른 형태로 이곳에서 드러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도는 이러한 점을 감안해 임대료가 저렴한 '경기도형 행복주택'을 판교테크노밸리에 조성하는 한편 종사자들에게 주택 임대료를 지원하는 사업 등을 다양하게 시행하고 있지만 종사자들이 느끼는 '주거 장벽'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인 실정이다.
경기도 측은 "집값 부담을 조금이라도 낮추고 인문학 강연, 커뮤니티 활성화 등 문화·여가 프로그램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순기·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관련기사